본문 바로가기

Car

포르쉐, 차세대 카이엔 'PPE' 플랫폼 전기차 추가

4세대 포르쉐 카이엔은 내연기관, 하이브리드에 이어 전기차도 추가된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동화의 고른 파워트레인을 갖춰, 훨씬 많은 고객들을 사로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르쉐AG는 2025년 4세대 순수 전기 카이엔 공개를 시작으로 2030년 이후까지 세 가지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카이엔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4세대 카이엔은 800v(볼트) 아키텍처의 프리미엄 플랫폼 일렉트릭(PPE)을 기반으로 한다. 디지털 개발 및 테스트부터 바이작에 위치한 포르쉐 개발 센터에서 첫 번째 테스트 주행까지 마친 순수 전기 카이엔의 프로토타입이 이미 도로 주행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포르쉐 AG 이사회 회장 올리버 블루메는 "우리의 제품 전략은 고객 수요 및 전 세계 각 지역의 전동화 개발 추이에 따라 2030년까지 신차의 80%이상을 순수 전기 모델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완전히 새롭게 개발된 4세대 카이엔은 포르쉐의 전동화 계획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르쉐 카이엔은 출시 이후 지금껏 전 세계 포르쉐 누적 판매량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간판으로 자리 잡은 모델이다. 포르쉐를 대표하는 차량은 스포츠카인 포르쉐 911이 일반에 널리 알려져 있지만 높은 판매량을 보이며 수익을 올려주는 모델은 카이엔이다. 지난 2002년 첫 SUV 차량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1세대가 출시된 이후 풀체인지(완전변경)를 통해 지금껏 3세대까지 발전했다.

지난해에는 3세대 출시 5년 만에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로 다시 돌아왔다. 당시 국내에선 카이엔과 카이엔 쿠페, 카이엔 터보 GT 등 내연기관 모델 3종이 출시됐다. 올해 들어서는 카이엔 E-하이브리드와 카이엔 E-하이브리드 쿠페 2종을 추가로 출시한 바 있다.

내년에 출시될 예정인 4세대 신형 전기 모델 카이엔은 800볼트 아키텍처의 프리미엄 플랫폼 일렉트릭(PPE)을 기반한다. 마이클 슈타이너 포르쉐 AG R&D 이사회 멤버는 "PPE 아키텍처의 유연성 덕분에 고전압 시스템, 파워트레인 및 섀시 분야의 최신 기술을 통합할 수 있고, 전동화의 잠재력을 활용해 주행 성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카이엔을 완전히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기존 3세대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모델 카이엔도 기술투자를 통해 더욱 발전될 예정이다. 포르쉐가 주펜하우젠 공장에서 개발 및 제작한 V8 엔진의 효율성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광범위한 기술적 조치를 통해 법적 요건을 갖춘 트윈-터보 엔진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마이클 셰츨레 카이엔 제품 라인 총괄 부사장은 "신차 개발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인 실제 환경에서의 주행 테스트가 시작됐고, 출시 전까지 프로토타입은 전 세계 각지의 극한 기후 환경과 지형 조건에서 수 백만 킬로미터의 테스트를 완료할 예정"이라며 "모든 기능이 포르쉐의 높은 품질 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내구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