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

마세라티코리아, 그레칼레 폴고레 국내 공개

(좌) 마세라티 다비데 다네신(Davide Danesin) 엔지니어링 총괄, (중) 마세라티 지오반니 페로시노(Giovanni Perosino) CMO, (우) 마세라티 코리아 다카유키 기무라(Takayuki Kimura) 총괄

이탈리안 럭셔리 스포츠카 브랜드인 마세라티가 국내 시장에 첫 번째 전기차인 '그레칼레 폴고레'를 선보이며 전동화 전략에도 박차를 가한다. 

마세라티코리아는 16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앤리조트 애스톤하우스에서 그레칼레 폴고레 국내 공개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다카유키 기무라 마세라티코리아 총괄, 지오반니 페로시노 마세라티 최고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책임자(CMO), 다비데 다네신 마세라티 엔지니어링 총괄이 참석해 최근 연식변경을 거친 그레칼레의 풀 라인업을 직접 소개했다.

마세라티는 앞서 공개한 내연기관 모델 '그레칼레 트로페오'와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 '그레칼레 GT·모데나'에 이어 전기차까지 선보이며 한국 시장에 그레칼레 풀 라인업을 갖췄다.

(좌) 그레칼레 폴고레 네로 템페스타(Grecale Folgore Nero Tempesta), (우) 그레칼레 폴고레 다크 오로라(Dark Aurora)

내연기관,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에 이어 그레칼레 폴고레가 추가되면서 마세라티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그레칼레 라인업을 완성했다. 그레칼레 폴고레는 마세라티가 한국 시장에 처음 선보이는 순수 전기차다. 폴고레는 번개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다. 전기차 역시 마세라티 특유의 퍼포먼스와 성능, 사운드를 그대로 전달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그레칼레 폴고레는 400V 기술 기반의 105kWh CATL 배터리를 장착했다. 유럽 기준(WLTP) 최대 500km 이상의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를 달성했다. 최대 820Nm의 토크를 발휘해 브랜드 특유의 성능을 즐길 수 있으며, 최고 출력 410kW 및 최고 속도 220km/h의 성능을 발휘한다.

다비데 다네신 마세라티 엔지니어링 총괄은 "그레칼레 전기차 버전에서도 내연기관에서의 모든 기술과 퍼포먼스가 수용되도록 플랫폼을 설계했다"며 "고객이 어느 모델을 선택하든 마세라티 DNA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레칼레 GT·모데나·트로페오 등 내연기관 및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에 이어 그레칼레 폴고레가 추가되면서 마세라티는 다양한 그레칼레 라인업을 완성했다. 최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으로 완성차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마세라티는 전동화 라인업을 확대하며 소비자들의 니즈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마세라티는 그레칼레에 이어 그란투리스모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도 선보인다. 그란투리스모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전기 세단과 전기 오픈카로, 11월과 12월 각각 선보일 예정이다. 그란투리스모와 그란카브리오는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자동 배터리 프리컨디셔닝 기반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충전을 돕는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됐다. 

다비데 총괄은 "그레칼레 폴고레는 초고속 충전소 근처에서 활성화되는 자동 배터리 프리컨디셔닝 기능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충전을 가능케 한다"면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는 충전소의 위치가 포함돼 충전소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선호하는 충전소를 선택하면 해당 충전소가 주행 계획에 반영된다"고 소개했다.

지오반니 페로시노 마세라티 최고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책임자(CMO)는 "한국은 마세라티에 중요한 시장 중 하나"라며 "한국 고객은 이탈리아 디자인과 문화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어 알레그리아(기쁨)를 앞세워 이탈리안 럭셔리, 성능, 혁신 가치를 강조하면 한국 고객들에게 더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